본문 바로가기
반려 동물

진돗개 키우기 _특징과 종류/성격

by 라리팬디 2023. 2. 20.

오늘은 풍산개와, 삽살개와 같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토종견 중 하나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진돗개에 대해서 자세히 하나하나 알아가 보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진돗개 키우기_특징

먼저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어 있는 한국특산의 개품종으로써 2005년 영국 켄넬클럽(kc)과 세계애견연맹(fci)에 정식 등록된 최초의 한국개로 일본이나 중국에는 여러 품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진도견만이 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럼 먼저 진돗개의 특징을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유래되어 '진돗개'라는 이름이 불려졌는데 우리나라에서 맥돼지나 고라니등 야생동물들을 사냥하거나 집을 지키는 경비견으로 운동신경이 아주 뛰어나 날렵하고 민첩한 것이 특징입니다. 외모는 체고는 45~53cm   체중은 15~20kg이며 수명은 14년 정의 중형견으로 얼굴은 역삼각형에서 팔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튼튼한 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둥이가 나와있으고 눈맵시는 삼각형 또는 아몬드 모양으로 홍채는 짙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코는 일반적으로 검은색이지만 백구의 경우는 담홍색을 띠기도 합니다. 귀는 삼각형으로 곧게 서있으며 몸은 전체적으로 탄탄하고 균형 잡혀있는 체형으로 다리가 길며 등은 직선으로 겉털은 강하고 윤택하며 얼굴에는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고 꼬리의 털은 약간 긴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 전체적으로 곧고 다부진 몸매를 지니고 있습니다. 진돗개는 늑대와 유전적으로 비슷해  습성이 늑대와 흡사하기도 하는데 수렵본능이 강한 스포츠과 견종에 속한다고 합니다. 천만 인구가 반려견인 요즘 시대이지만 도시에서는 진돗개를 키우는 경우는 많지 않고 전원주택이든 시골에서의 반려견으로 인기가 있는 개로써 온순한 편에 속하나 외부인에 대한 공격과 경계심이 심하므로 주종관계를 제대로 성립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인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어린아이까지 물어버리는 경우도 발생하니 진돗개의 성격등을 이해하고 키울 수 있는 반려인으로 준비할 수 있길 바라며 다음은 성격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돗개 종류와 성격

먼저 진돗개는 털색으로 6가지로 나뉘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백구와 황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나머지 4가지로 다양한 진돗개 종류를 하나하나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먼저 흔히 우리가 볼 수 있는 모색으로 몸 전체 흰색털로 뒤덮인 경우로 말 그대로 백구이며 약간 아이보리와 귀나 오금 쪽이 약간 노르스름한 빛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다음은 황구로 몸대부분 황색털로 뒤덮여있고 등 쪽은 좀도 황금빛색깔이며 배 쪽으로 내려오면서 색이 옅어집니다. 또 흑구가 있는데 검은색이 몸전체 대부분을 뒤덮여있은며 다음은 재구로써 잿빛이난 회색을 띠고 있는데 털을 뽑아보면 뿌리는 흰색 중간은 노란색 끝은 회색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호구라고 불리는 칡개라고도 하는데 호랑이와 엇비슷하게 누런색에 표범과 같은 점박이 무늬를 가지고 있는 모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네눈박이로 블랙탄이라고 하는데 눈 바로 위쪽에 밝은 점박이가 있어 마치 눈이 네 개로 보인다고 해서 네눈박이라고 불리며 전체적으로 검은 바탕에 아래턱부터 목덜미와 앞가슴, 다리 아랫부분이 밝은 색을 띠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다양한 모색으로 진돗개의 종류를 알아보았으며 성격과 주의할 부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견종 중에서도 가장 냄새도 안 나고 청결에 신경 쓰고 깔끔한 성격인데 실내에서 냄새가나 거나 자기 몸에서 냄새가 나는 거에도 스트레스를 받는 견이며 실내견으로 키우시에는 실내에서는 배변을 보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기 때문에 하루 두 번에서 4번 정도는 배변을 볼 수 있게 신경 써주셔야 합니다. 진돗개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한 견종을 알려져 있는데 대신 자신의 영역에 침범하거나 주인을 보호하려는  행동 을로 짖으면서 강한 적개심으로 인한 공격성을 보일 수 있는데 이로 인한 위험이 일어날 수 있으니 항시 보호자는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진돗개는 머리 위로 손이 다가오는 것을 불편해하는데 이쁘다고 낯선 사람이 만지지 않게 산책 시 더욱 조심해줘야 합니다. 이렇듯 사회성에 대한 행동교정도 같이 단호하게 교육해 주셔야 난폭한 행동과 보호자가 상위서열임을 확실히 심어주어야 늑대의 습성을 지니고 있는 진돗개를 통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산책 시 사냥견에 본능도 있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쫓아가서 물려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지나가는 소형견이나 어린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진돗개가 새끼 강아지일 때부터 사회화를 위해 많은 접촉으로 거부감이 가지지 않게 해 주시고 보호자의 단호하면서 엄격한 모습으로 훈련을 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진돗개는 청각이 아주 뛰어나 소리 둔감화를 위한 다양한 소리에 노출시켜 좋은 기억이 심어질 수 있도록 해주시고 진돗개는 낯선 곳의 적응을 힘들어하기 때문에 멀리 있어도 자신의 공간으로 돌아오는 귀소본능이 강한 견으로 도 알려져 있는데 상당히 지능이 높아 상황판단이 빠르고  주인과의 교감도 잘 될 수 있기 때문에 가족과  잘 지낼 수 있는 견종으로 매력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